728x170


얼굴이 노리끼리하면...귤 많이 까먹고 손이 노래지면 황달이라고 놀리던 기억이 있네요. 

그냥 보이는 곳이 누리끼리하면 이 병인가 생각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겠죠? 

황달 증상 및 황달 원인과 질환관련성 확인해볼까 합니다. 

요즘 손바닥이 많이 노래졌더라구요. 

어머니와 비교해보니 어머닌 핑크핑크한 손바닥인데 전 누르스름하더라구요. 

어머니께서 너 혹시 황달이니? 하시기에 알아보는 황달 증상 및 황달 원인과 질환관련성 입니다. 

황달




1. 황달 증상 

황달이란 혈액속의 빌리루빈농도사 상승해 결과적으로 전신 피부와 점막에 과잉 침착된 상태이다. 

빌리루빈은 오래된 적혈구가 파괴될때 생기는 황색색소로 혈액에서 간으로 운반되어 담즙성분이 된다. 

그후 십이지장과 소장을 순환해 최종적으로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출된다. 

빌리루빈농도상승은 적혈구 파괴항진, 간장애, 담도폐색등을 일으킨다. 

원래대로라면 대사되어야만할 빌리루빈이 과잉생성되었거나 제대로 배설되지 못한 것이다. 

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기위해 필요한 녹색 액체로 하루에 약 500ml 분비된다. 

담즙은 식사를 안할 때 간에서 나와 담낭에 쌓인다. 

체내로 들어온 음식이 십이지장에 도달하면 담낭에 있던 농축된 담즙은 십이지장으로 흘러간다. 

이 담즙이 통과하는 길을 담도라 한다. 

황달증상

2. 황달 증상 

정상 빌리루빈 농도는 1.0mg/dL이하인데 3,0mg/dL이상이 되면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빌리루빈 농도가 상승하면 우선 눈의 흰자부분과 피부가 노래진다. 

이 증상은 스스로도 빨리 알아차릴 수 있다. 

소변색깔이 진한 노란색으로 변하거나 대변색이 회색빛을 띠기도 한다. 

이외에는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발열, 감기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빌리루빈이 피부에 쌓이면 가려움을 동반한다. 




3. 황달 원인과 질환관련성 

3-1. 용혈성 빈혈 

적혈구가 파괴, 용혈되면 빌리루빈이 만들어진다. 

적혈구는 원래 일정주기로 파괴되고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긴한다. 

하지만 파괴가 항진되는 용혈성빈혈과 대량수혈때에는 빌리루빈이 과잉생산되어 황달이 나타난다. 


3-2. 간세포성 황달, 간내담즙울혈형 황달 

간세포가 급격하게 파괴될때 빌리루빈이 상승하는데 대표적인 것은 급성간염이다. 

이 질환은 바이러스성, 약제, 알콜, 자기면역등으로 발생한다. 

만성감염은 서서히 진행이 증가해 일반적으로 황달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3-3. 폐색성황달 

결석, 종양이 원인으로 담즙 배설로인 담도가 좁아져 증상이 나타난다.

 대변색이 회색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3-4. 체질성황달 

유전적으로 빌리루빈대사가 원활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다. 

일시적으로 것으로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황달

눈의 흰자위나 피부가 갑자기 노리끼리, 누르스름 해진다면 가장 먼저 의심해보는 질병

황달 증상 및 황달 원인과 질환가능성 소개드렸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