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허혈성 심장질환 증상 및 종류 

심장은 심근과 심육으로 구성되어 있고 온 몸으로 피를 내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여러 심장관련 질환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오늘은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와 그에 따른 증상 무엇이 있을까요?

 

심장의 심근에 산소와 영양을 함유한 혈액을 보내주고 있는 것은 심장 주변의 관동맥이라는 혈관입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이라는 것은 이 관동맥이 동맥경화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되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근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심근허혈 때문에 일어납니다. 

 

 

관동맥이 동맥경화등으로 인해 좁아지게 되면 혈류가 나빠지면서 심근에 필요한 혈액이 부족해지고 가슴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 중 하나인 협심증입니다. 

혈관내의 플라크가 파괴되어 혈관내에 혈전이 생겨 관동맥이 갑자기 막혀 폐색되면 심근이 괴사되는 허혈성 심장질환 중 하나인 심근경색이 됩니다. 괴사부분이 크면 클수록 생명이 위험한 상태가 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증상 

협심증 통증은 가슴이 쪼그라는 듯한 통증, 꾹 눌려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통증을 느끼는 부분은 전흉부, 명치, 어깨, 목 부분이며 치아나 목구멍에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다만 통증 지속 시간은 짧아 몇 분 지나면 가라앉습니다. 심근경색은 심한 통증이 30분 이상 계속됩니다. 

 

물론 한마디로 허혈성 심장질환 이라는 말로 대표되기는 하지만 그 종류에 따라 증상은 다릅니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가슴이나 등에 심한 통증과 압박감, 숨쉬기 곤란함, 식은땀, 의식장애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대표적인 협심증 경우는 이러한 통증이 길어도 15분 정도 지속되며 협심증 초기증은 계단이나 오르막길을 오를 때, 달리기를 할 때 등에 가슴 통증이 몇분간 계속 되고 이른 아침 화장실에서 또는 세수를 하거나 할 때 가슴이 아프거나 또는 통증 때문에 잠에서 깨기도 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심근경색 경우는 통증이 2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운동할 때 또는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상관없이 갑가지 15분~30분 이상 가슴이 아프고 이와 함께 심하게 두근거리는 증상과 숨이 차고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 

협심증, 심근경색 뿐만 아니라 허혈성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단은 심근허혈로 인한 여러 증상 즉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또는 심부전이나 치명적인 부정맥 등의 증상 나타나며 심근허혈이 있으며, 관동맥에 동맥경화성 병변이 보일 때 받게 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 - 협심증 

혈액의 수요와 공급 균형이 무너지면서 발생하는 심장의 산소결핍상태를 말합니다. 운동할 때 등 평소보다 산소가 더 많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심장은 혈류량을 늘리려 합니다. 그런데 혈액이 통과하는 혈관이 좁아지는 협착이 발생하면 제대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산소가 부족한 상태가 되면서 심장에 통증 즉 협심통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일시적으로 몇초에서 몇분정도로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하나인 협심증 또한 몇가지 종류로 나뉘어집니다. 운동성 협심증은 운동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심장이 부담이 갔을 때 발생하고 쉬면 증상이 가라앉습니다. 안정성 협심증은 심야나 새벽 등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발생합니다. 혈관 경련, 혈관내 혈전이 생겨 관동맥 혈류가 감소했을 때 발생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종류 -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중 심근경색은 혈관 안쪽의 혈전이 혈관을 완전히 막아 버리면 심장 근육에 산소가 공급되지 못해 괴사를 일으킵니다. 이것이 심근경색이고 한번 죽은 심근은 되돌아 오지 못합니다.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위험한 병입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