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이 있는 곳의 조명은 어떤 컬러에, 어떤 느낌인가요?
형광등빛 가득한 하얀 색? 아니면 약간 누리끼리한 톤다운 된 조명?
오늘은 풍수인테리어 중에서도 조명 인테리어 방법에 관해 알아보는 조명풍수 입니다.
조명이 너무 밝으면 제대로 잠을 이룰 수 없기도 하고 침착하고 정돈된 마음이 되지 못한다고 하죠.
거꾸로 너무 어두우면 또 눈이 피곤하다거나 하는 등의
여러가지 상황들과 조명이 서로 어울리지 못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인테리어 중에서도 조명 인테리어 라는 것은 우리들의 심신의 상태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풍수인테리어 에서도 조명 선택법은 상당히 중요시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조명은 풍수에서는 <불>과 <양>의 경향을 가진 것입니다.
방 중에서도 <음>의 기운이 정체되기 쉬운 장소에 조명을 설치하면 실내의 기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꾸로 빛이 너무 강한 조명을 설치하게 된다면 실내의 기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서
초조함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전기를 끈 후에도 거기에는 에너지가 쌓여있어 실내 기 흐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럼 풍수인테리어 상 어떤 조명을 고르는 것이
조명풍수 즉 그 장소에 잘 맞는 조명 인테리어 될 수 있을까요?
* 타입 및 소재별 조명 효과
풍수에서는 <화>와 <양>의 기운이 강한 아이템입니다.
그렇기에 전등갓부분의 소재로 그런 경향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조명 인테리어 하게 될 때 우선 아주 간단하게 풍수에 관련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전등갓을 바꿔주는 겁니다.
사실 우리마음대로 조명을 바꿀 수도 없고 힘들기도 진짜 마음먹고 돈도 들고 하는 일이니까
우선 전등갓이나 스탠드부터 살짝 바꿔보세요.
천, 종이 조명 : 천이나 종이로 만들어진 갓을 사용해 보세요.
음의 기운이 강해서 양의 기운이 센 전등과의 전체적인 기 균형을 맞출 수 있어요.
또한 빛을 부드럽게 바꿔주기 때문에 우리가 편안하게 쉴 수도 있게 해 줍니다.
나무전등, 나무갓 : 따뜻한 느낌이 있는 나무 갓도 음의 기운이 있습니다.
풍수인테리어 에서는 나무는 불에 의해 타버리면서 자신을 불에 다 바친다고 하니,
불의 기운을 띤 조명과의 궁합도 좋습니다.
금속계열 전등, 금속갓 : 스타일리시한 인상을 주는 금속계열 갓은 양의 기운이 강한 아이템입니다.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공부방이나 서재용으로는 금속제 조명이나 갓을 씌워주면 효과적입니다.
유리조명, 유리갓 : 유리로 만들어진 조명이나 갓은 양의 기운이 강하지만 금속제보다는 약합니다.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은 아이템입니다.
도자기조명, 도자기갓 : 도자기 계열 조명과 갓은 어떤 풍수인테리어 기능을 할까요?
풍수에서는 흙의 기운을 가진 소재입니다. 불은 재가 되어 흙에 바쳐지는 것처럼 흙이 불의 기운을 흡수해 줍니다.
그래서 전체적인 기 균형이 맞춰지게 됩니다.
플로어램프 : 높은 램프대가 있어 바닥에 세울 수 있는 플로어 램프는
빛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비추는 타입의 조명입니다.
풍수에서는 방의 기운을 증가시킨다고 말해집니다. 그리고 너무 밝지않은 것이 더 좋습니다.
업라이트 : 밑에서 위를 비추는 형태의 업라이트.
공간 밑에서 위로 상승해가는 기의 흐름을 강화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차가운 공기는 음의 기운으로 밑에 쌓이기 쉽습니다. 실내의 기 순환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스포트라이트 : 한정된 장소를 집중적으로 비춰주는 조명
풍수에서는 한정적인 장소의 기운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음의 기운이 쌓이기 쉬운 방 구석자리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 전체의 기 균형도 맞출 수 있는 조명 인테리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샹들리에 : 공간을 화려하게 보여주는 효과가 있는 조명입니다.
풍수인테리어 로서는 강한 양의 기운을 가진 아이템으로 침실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잠을 잘 이룰 수 없게 됩니다.
거실이나 현관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 조명 인테리어 입니다.
그 장소의 공기를 환하게 밝혀주기 때문에 가족운이 상승하게 되는 조명풍수 입니다.
좋은 기운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 아이템이므로 현관에서부터 아주 좋은 기운이 들어오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풍수인테리어 중에서는 조명 인테리어 즉 조명풍수 관련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