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대장을 중심으로 하는 소화기관에 염증이 생겨 염증이나 궤양이 생기는 만성질환인 크론병
우리나라에서는 윤종신이 앓고 있다고 해서 더 알려지게 된
이 크론병 특징 및 크론병 치료방법 , 원인 등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크론병 증상 : 복통, 설사, 하혈, 체중감소, 발열 등
궤양성대장염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 둘을 함께 염증성장질환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모든 소화관 전체에 걸쳐 발생하는 만증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주로 10~30대의 젊은층에서 많이 보여지며 소화기의 여러 곳, 즉 소장이나 대장, 결장등에서 생기는 병으로
현재의 의학으로는 완치가 불가능한 난병입니다.
게다가 원인도 불분명해서 한번 발병하면 얼마나 잘 어울려서 살아가는지가 중요합니다.
원인 : 유전적인 요인과 그에 따른 장관에서의 정상이 아닌 면역반응때문이라 하지만
아직 명확하게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서구화된 식생활로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음식물과 미생물이 원인이 되어 이상반응을 읽으키는 것이 원인의 하나로 생각되어집니다.
이 병을 앓고있는 사람들 중에는 패스트푸드 이용율이 높다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또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과민 면역반응이 원인으로 보여지기도 하며 흡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수술을 받아도 금연하지 않은 경우는 재발율이 높고 증상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크론병 특징
1. 10~30대의 비교적 젊은 층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성 2 : 여자 1 의 비율로 남자의 비율이 좀더 높습니다. 또한 서구여러나라에서 보여지는 병입니다.
2, 증상 : 소장, 대장, 결장등 소화기 점막에 염증과 궤양이 발생하며 발열과 복통, 농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장 협착과 장끼리의 유ㅏㄱ과 치질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스빈다.
3. 일정 주기 : 일정주기 즉 활동기에서 관해기가 있어 치료를 해도 몇번이나 발병하게 됩니다.
4. 개인차 : 개인에 따라 증상이 모두 똑같진 않습니다. 관절염이나 피부궤양이 일어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크론병 치료방법
완치는 불가능하지만 관리를 잘하면서 치료해 나가야 합니다.
1. 식사제한
저잔사식, 저지방식이라 칭해지는 메뉴가 좋다고 합니다.
저잔사식, 저지방식이란 식이섬유나 지방을 억제해 장내에 가스가 남지않도록 하는 식사입니다.
자극이 강하지 않은 것, 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2. 성분영양법
완전소화태영양제라는 분말로 된 영양제를 물 등에 녹여서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장염증 회복과 장관의 안정을 도모합니다.
3.약물요법
일단 이 병에 걸리면 반드시 투약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함염증제, 메살라민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개인에 따라 면역억제제, 항생제 등 여러 약제들이 사용됩니다.
4. 레미케이드치료
환자는 링겔로 레미케이드치료가 행해집니다. 염증을 일으키는 TNFa의 작용을 억제하게 됩니다.
하지만 부작용도 있어 치료직후에는 면역력이 저하됩니다.
또한 링겔을 맞는 중에 현기증이나 두통이 생기기도 합니다.
5. 절식과 링겔치료
이 병이 활동기에 들어가면 절식과 링겔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관쪽은 염증과 궤양이 발생해 있어 약으로 그것을 억제해 가는 것입니다.
6. 외과수술
장관내에서 염증과 궤양이 눈에 띠게 보이는 경우나 협착상태가 심한 경우는 그 부분을 절제하는 수술을 합니다.
크론병에 있어 가장 큰 적은 흡연입니다. 직접흡연은 물론 간접흡연도 포함됩니다.
식사에서도 지방, 자극적인 음식, 섬유질 등은 좋지 않습니다.
현재의 단계로는 아직 완치는 불가능한 크론병. 오늘은 그런 크론병 특징 및 크론병 치료방법 등에 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