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살면서 한두번쯤은 할 경우가 있는 전신마취

저 또한 한번의 전신마취와 여러번의 국소마취 경험이 있습니다. 

우리집 나이많은 강아지는 두세달사이에 전신마취 두번 하고 나더니 기력이 딱 떨어지던데요 사람도 마찬가지아닐까 싶네요. 

전신마취법과 전신마취 부작용 및 합병증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마취란 수술시 통증과 스트레스제거를 위해 약을 사용해 통증과 몸반사를 일이키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뇌, 척수신경, 손발 말초신경까지 일시적으로도 또한 후유증을 남기는 일 없이 신경움직임을 제어하는 약을 사용하게 됩니다. 

수술을 해도 무의식, 무통, 움직이지 않는 몸의 반사를 일으키지않는 상태를 얻기 위해 마취를 하게 됩니다. 

전혀 의식이 남지 않는 전신마취와 의식은 있지만 통증을 느끼지 않는 국소마취로 크게 나뉘게 됩니다. 

오늘은 그중 전신마취법과 전신마취 부작용 및 합병증 살펴봅니다. 




1. 전신마취법 

통증을 동반하는 큰 자극과 스트레스를 받아도 무의식, 무통, 몸이 움직이지않고 기억에도 남지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마취약을 사용해 통증과 출혈등의 수술스트레스에서 환자를 지키고 원활하게 진행되는 환경을 만든다.  

1-1. 장점 

Analgesia(무통), Amnesia(기억상실), Anesthesia(무의식), Akinesia(부동) 이것을 4A라 부른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통증을 느끼지 않고 수술이 끝나고 힘든 기억을 남기지 않는 것이다. 

몸을 움직이지 않으므로 의사 또한 수술이 편해지고 보다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다. 


1-2. 종류 

흡입마취법, 정맥마취법이 있다. 

2. 전신마취 부작용 및 합병증 

2-1. 가벼운 부작용 및 합병증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은 목 통증, 목소리가 갈라짐, 두통, 구역질, 현기증, 요통, 눈의 위화감, 수술후 떨림 

마취중에 입에서 기관으로 삽입되는 가느다란 관이 성대나 목에 염증을 일으켜 수술후 목 통증과 목소리가 갈라지기도 한다. 

두통, 구역질, 현기증은 투여된 마취약과 의료용마취, 수술자체가 원인으로 발생한다. 

장시간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었기에 요통이 생기고 요추에 부담이 가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수술중에는 몸과 마찬가지로 눈도 깜박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쯤 뜬 상태로 마취가 된 경우 각막이 건조해져 눈에 위화감을 느낀다. 

거의 나체상태로 수술을 받고 마취약작용으로 체온을 유지하는 작용이 저하되고 출혈과 수분증발로 체온이 내려간다. 

이 상태로 눈을 뜨면 뇌가 저체온을 느껴 한꺼번에 근육을 떨게해 체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2-2. 중간정도 부작용 및 합병증 

대부분은 일과정으로 완전회복되지만 적절한 치료가 행해지지 않으면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도 있다. 

치아손상, 알레르기, 혈압상승과 저혈압, 신경장애등을 들 수 있다. 

인공호흡보조를 위해 가는 관을 기관으로 삽입할 때 치아에 손상이 생길 수 있다. 

수술에는 수술기구, 장갑, 관, 튜브, 약, 항생물질등 여러가지가 사용된다. 

이런것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출혈량에 따라 혈압은 저하하는데 반사적으로 고혈압이나 저혈압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몸을 움직이지 않아 손발저림과 마비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2-3.  중증 부작용 및 합병증 

뇌장애, 심장정지, 사망을 들 수 있다. 

특별한 지병이 있거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드물게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오늘은 전신마취법과 종류, 그리고 전신마취 부작용 및 합병증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