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여성들만의 질병인 자궁관련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듣는 것은 자궁근종 입니다. 

이외에도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이라는 질환에 관해도 자주 듣게 되는데요. 

오늘은 이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의 차이점을 소개합니다. 


자궁선근증의 증상과 치료, 자궁내막증의 증상과 치료 방법 등을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 자궁선근증 

자궁선근증


30대후반 ~ 40대 

자궁내막조직이 자궁으로 침투해 자궁내막 조직이 주위 자궁근층상장을 촉진해 염증성으로 커지게 된다.  

즉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으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이다. 

생리통은 자궁내막증보다 심하다. 

자궁이 비대해지므로 과다월경이 자주 발생한다. 

불임의 확률은 적다. 

심한 생리통이 증가하고 과다월경, 생리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증상 

생리과정에서 자궁내막이 두꺼워지는 것은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있다. 

즉 에스트로겐의 과잉분비가 자궁선근증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치료 

호르몬요법, 빈혈이 생기기 쉬워 철분제 투여, 

아이를 낳을 계획인 있는 사람에게는 자궁내막증절제술 

아이를 낳을 계획인 없다면 자궁적출  



●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

20~30대 

자궁내강에만 존재하는 자궁내막이나 자궁내막양 조직이 자궁이외의 장소 즉 난소나 직장, 직장자궁와, S상결장, 선골자궁인대, 질, 외음부 등에 생겨 염증을 일으키거나 생리때마다 증식과 박리가 반복된다. 

생리통은 점점 더 심해지게 된다. 

자궁자체가 비대되지는 않아 과다월경의 우려는 그다지 없다. 

불임의 확률이 높다. 

치료 

호르몬요법 : 저용량필, 황체호르몬 등 

호르몬요법이 효과가 없다면 자궁내막증성 불임 치료로 복강경하수술을 하게 된다.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의 차이를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자궁질환의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역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이상을 들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분비 이상 증상

정신장애 : 기분장해, 불면, 두통 

대사장애 : 부종, 저혈당, 골다공증 

성기능 : 성욕감퇴, 생리불순, 생리전증후군, 불임 

그외 : 피로, 노화촉진, 코막힘 등 


오늘은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의 차이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자궁근종 등 또다른 자궁질환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