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완강기 사용법 그림으로 알아보기 



아주 높은 고층빌딩 아닌 10층 정도되는 곳의 창문 어디쯤에는 완강기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처음 봤을 때는 무슨 사다리도 아니고 판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냥 줄만 있는 것 같은데 이게 왜 피난기구가 되는 거지? 하는 의문을 가졌습니다.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또다른 사고가 발생했을 때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게 되는 완강기의 올바른 사용법 등을 그림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완강기라는 것은 몸에 밧줄을 매고 벽을 타고 높은 곳에서 천천히 내려올 수 있게 만든 비상용 피난기구입니다. 그리고 법적으로 의무설치하게 되어 있는데 모든 곳에 다 하는 것은 아니며 또 줄을 매달고 내려와야 하는 것이라서 너무 높은 건물에서도 부적합한 관계로 3층에서 10까지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완강기는 릴, 후크, 로프, 벨트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대가 있습니다. 그리고 로프길이는 층당 3m이므로 이 조건도 맞추어야 합니다. 

완강기 사용법 첫번째는 완강기 보관함에서 완강기를 꺼내는 것 부터 시작입니다. 그리고 나서 완강기의 후크를 고리에 걸어서 벽면에 설치된 설치대에 연결하게 됩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완강기 후크를 돌려서 잠근 것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잠긴 것을 확인하면 안전벨트를 메고 고정링은 가슴쪽으로 쫙 당겨서 몸을 조여 줍니다. 아래에 아무것도 없고 이상이 없다면 릴을 바닥으로 떨어뜨리고 벨트는 겨드랑이 밑으로 고정한 후 로프를 잡고 건물 밖으로 나와 건물벽을 보면서 손을 벽에 대면서 천천히 밑으로 내려옵니다. 

다시 한번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완강기 조절기에 고리를 연결해 설치대에 걸어서 잠그고 확인을 합니다. 

2. 설치대를 대피할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흔들리는지 어떤지 확인합니다. 

3. 안전벨트는 겨드랑이 사이로 넣어서 가슴 부분에 오도록 한 후 끝까지 잘 조아집니다. 겨드랑이 사이로 벨트가 위치하기 때문에 나중에 내려갈 때 팔을 위로 들면 벨트가 위로 빠지면서 추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내려갈 때 팔은 위가 아닌 정면 또는 측면을 보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4. 안전벨트를 매고 내려갈 곳을 확인한 후 릴을 밖으로 던집니다. 

5. 벽을 바라보는 자세로 그리고 팔은 측면 또는 정면을 보게 하고 천천히 내려갑니다. 




피신해야 할 사람이 여러명인 경우도 한명씩 이렇게 완강기를 타고 대피할 수 있습니다. 일반 완강기에는 안전벨트가 2개가 있는데 이는 도르래와 같은 원리라서 한명이 타고 내려가면 나머지 하나의 벨트가 올라오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간이완강기는 1회용입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