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방광에서 세균이 역류하면서 생기는 신우신염증상 및 원인과 위험인자, 그리고 급성과 만성신우신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신우신염이란? 

방광에서 세균이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신우 및 신장 감염증을 말한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세균이 혈액속으로 침입해 패혈증을 일으키게 된다. 


신우신염증상 및 원인과 위험인자 

1. 증상 

발열 : 40도 가까운 고열이 난다. 

복부통증 : 감염을 일으킨 신장쪽 복부에서 허리까지 통증을 느끼게 된다. 

빈뇨 : 방광요도염이 원인으로 소변이 자주 마렵다. 

진한 소변 : 감염된 균에 의한 농(고름)이 소변에 섞여 진한 색깔을 보인다. 

혈뇨 : 감염으로 인해 요로에서 출혈이 생겨 혈뇨를 본다. 


2. 원인 

전형적인 신우신염은 신장의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요로 감염증이다. 


3. 위험인자 

여성 : 여성은 남성보다 신우신염에 걸릴 빈도가 높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요도가 짧아서 세균이 방광내로 침입하기 쉽고 여성의 요도는 질과 항문과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요로폐색 : 전립선비대증이나 요로결석등으로 요로폐색으로 인해 소변의 흐름이 저하되는 경우 걸리기 쉽다. 

면역력저하 : 암, 당뇨병 그 이 면역력이 저하되는 병에 걸리면 감염에 약해지기 때문에 신우신염에 걸리기 쉽다. 또 장기이식후또는 어떤 면역질환으로 약을 복용하는 경우도 잘 걸릴 수 있다. 

방광유치카테터 : 특히 오랜기간 방광유치카테터를 사용하게 되면 요로감염이 생기기 쉽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면 신우신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방광요관역류증 : 선천적으로 방광의 소변이 요관에서 신장으로 역류하는 경우 걸리기 쉽다. 



4. 합병증 

제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의 우려가 있다. 

신장기능장애 :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신우신염이 반복되면 신부전이 되어 투석을 해야할 수 있다. 

패혈증, 균혈증 : 혈액에서 노폐물을 여과해 배설하는 신장에는 혈관이 많이 존재한다. 중증 신우신염은 세균이 혈액으로 침입해 패혈증, 균혈증이라는 위험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5. 치료 

항생제를 투여하고 가벼운 증상이면 통원치료, 약복용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고열이 계속되는 등 중증이 되면 입원치료가 필요해진다. 


6. 예방 

수분섭취 : 충분한 소변의 양을 확보해 침입한 세균을 몸밖으로 내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소변을 참지않는다 : 소변을 참다보면 침입한 세균이 방광안에서 쉽게 번식하게 되면서 방광염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성행위 후 배뇨 : 성행위 후에는 방광안에 세균이 침입했을 확률이 높으므로 소변을 봐서 방광염예방을 해야 한다. 

7. 급성신우신염과 만성신우신염 

급성 : 주 증상은 발열, 오한, 떨림, 허리 등 복부 통증, 구토, 구역질 등이다. 때로는 짧은시간에 40도를 넘는 고열이 날 수도 있다. 하지만 고열이 있어도 폐렴이나 편도염에 비교해 전신상태가 그렇게 나쁘진 않다. 

소변이 자주 마렵지만 소변의 양은 적고 배뇨시 통증이나 잔뇨감 등 방광염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백혈구가 섞여 하얗고 탁한 소변을 본다. 


만성 : 증상은 여러가지이지만 활동성 만성신우신염인 경우는 급성신우신염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비활동성 신우싱염은 대부분 미열과 나른함을 느끼고 식욕부진, 구역질 등이 있지만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신우신염증상 및 원인과 위험인자, 급성과 만성신우신염 차이 및 증상까지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