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혈중알콜농도 계산
술이 센 편인가요? 위드코로나 시행되면 연말에 아무래도 술을 마실 기회가 더 많아질텐데요, 술을 마시면 절대 잡지 말아야할 것이 핸들인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어제 술마시고 술깼다고 생각해 운전을 하다가 음주운전에 걸리는 사람도 많습니다. 과연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얼마나 걸릴까요? 혈중알콜농도 계산 하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
일명 숙취운전이라고도 하는데요, 간밤에 마신 술의 주종, 양은 물론 그 사람의 체질에 따라서도 다르기 때문에 한마디로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이 얼마다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음주운전 관련해 혈중알콜농도 재는 위드마크 공식이 있습니다. 스웨덴의 생화학자 위드마크가 제안한 공식으로 운전자가 사고 당시 마신 술의 종류, 운전자 체중, 성별 등의 자료에 따라 운전 당시 혈중알콜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즉 술의 종류, 운전자 체중, 성별 등에 따라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다를 수 있다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위드마크 공식에 의하면 음주 후 30분에서 90분 사이에 혈중알콜농도는 최고치에 오릅니다. 이후 시간당 알콜 분해값이 개인에 따라 따르긴하지만 평균 0.015%씩 감소한다고 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음주운전 사고 및 단속 시 음주운전 시간과 실제 단속 시간에 차이가 있을 경우 역추산해서 운전 당의 음주상태를 추정하게 됩니다. 술 마시고 직접 운전하는 경우는 바로 혈중알콜농도가 바로 검출되지만 숙취의 경우는 이 위드마크 공식을 대입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공식에 알콜이 체내에 100% 흡수되지 못한다고 보고 수정된 위드마크 공식을 대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70kg의 남성이 20도 소주 2병 720ml를 전날 22:00시까지 마시고 3시간 30분 후 운전하다가 교통사고를 냈습니다. 이때 혈중알콜농도는 이 계산에 따라 0.132%가 최고수치이며, 교통사고 당시의 농도는 0.072%가 산출됩니다. 이는 피고인에게 가장 유리한 수치인 0.03%를 적용했을 경우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평균적으로 알아보는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주 1병을 음주 후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남성은 3~5시간, 여성은 5~7시간으로 잡고 있습니다. 맥주 2000cc 음주 후 남성은 약 4시간에서 6시간 30분, 여성은 7시간에서 9시간 30분, 와인 1병 음주 후는 10시간 이상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19도 소주1병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50kg 여성 - 7시간 12분 / 60kg 여성 - 6시간 / 70kg 여성 - 5시간 9분 / 60kg 남성 - 4시간 50분 / 70kg 남성 - 4시간 5분 / 80kg 남성 - 3시간 35분 / 90kg 남성 - 3시간 10분
4.5도 맥주 2000cc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50kg 여성 - 9시간 30분 / 60kg 여성 - 7시간 53분 / 70kg 여성 - 6시간 47분 / 60kg 남성 - 6시간 20분 / 70kg 남성 - 5시간 22분 / 80kg 남성 - 4시간 45분 / 90kg 남성 - 4시간 12분
6도 막걸리 1병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50kg 여성 - 4시간 45분 / 60kg 여성 - 3시간 55분 / 70kg 여성 - 3시간 20분 / 60kg 남성 - 3시간 10분 / 70kg 남성 2시간 41분 / 80kg 남성 - 2시간 22분 / 90kg 남성 2시간 6분
45도 양주 4잔 기준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50kg 여성 - 11시간 25분 / 60kg 여성 - 9시간 30분 / 70kg 여성 8시간 10분 / 60kg 남성 - 7시간 35분 / 70kg 남성 6시간 28분 / 80kg 남성 - 5시간 40분 / 90kg 남성 - 5시간
13도 와인 1병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50kg 여성 - 10시간 15분 / 60kg 여성 - 8시간 35분 / 70kg 여성 - 7시간 18분 / 60kg 남성 - 6시간 50분 / 70kg 남성 - 5시간 50분 / 80kg 남성 - 5시간 5분 / 90kg 남성 - 4시간 30분
다만 이것은 단순하게 본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체중과 음주량 그리고 개인의 체질에 따라 다 다릅니다. 술 마시는 상황과 함께 먹고 마시는 안주나 다른 음료, 수분량과 알코분해효소의 활성화 등이 다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알아보는 공식은 다음의 상담모아라는 사이트에서 직접 대입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혈중알콜농도 계산은 도로교통공단 위드마크 공식을 참조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혈중알콜농도와 분해시간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꼭 염두에 두기 바랍니다.
자신은 술깨는데 걸리는 시간 얼마나 걸리는지 모르겠다 싶거나 숙취가 조금이라도 있거나 하다면 두말할 필요도 없지만 술 마시고 난 다음날 또는 새벽까지 술 마시고 난 후라면 24시간 이후에 운전을 해야 마음이 편할 듯 합니다. 하다못해 택시를 이용하든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속에서 편하게 졸면서 다니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