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사시 원인 및 사시수술치료법 


 


사시란 한쪽 눈은 똑바로 이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또다른 한쪽눈은 좌우나 위아래로 어긋나 있어 

상대방 입장에서는 자신을 똑바로 보고 있지 않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상태입니다. 

타인의 입장에서 부자연스럽게 보이기 때문에 사회생활을 하는데 불리한 입장에 서게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사시 원인 및 사실수술치료법 소개합니다. 


사시 원인 

크게 기질적 장애, 또하나는 각각의 눈 보이는 방법의 차이 두가지로 나뉘게 된다. 

아기는 태어났을 때는 시력이 발달되지 않아 눈의 방향도 양쪽이 같지 않다.

2,3개월정도 지나 움직이는 것을 눈으로 쫓으면서 조금씩 눈의 방향이 모아지게 되는데 

이때 사시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게 된다. 

1. 기질적 장애 

안구를 움직이는데는 안근이라 불리는 근육이 6개 있으며 이들이 연계해 보고싶은 쪽으로 눈을 돌릴 수 있게 한다. 

안근이 어떤 이상으로 눈이 특정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안근이 안구에 달라붙어 있는 부분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경우도 충분하게 눈을 움직일 수 없어 사시가 된다. 

또한 이 근육을 제어하는 신경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2. 원시, 약시에 의한 경우

한쪽눈이 원시로 촛점이 맞지 안게 되면 원시 쪽은 촛점를 맞추기 위해 안쪽을 향하게 된다.

그상태가 계속되면 내사시가 된다. 

양쪽눈의 시력이 근시등으로 극단적으로 다를때도 사시가 된다. 

뇌는 잘 보이는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렇게 성장하면 한쪽눈으로 사물을 보는 버릇이 생기고 다른 한쪽 눈은 사용하지 않게 되어 시력이 저하된다. 

이것을 약시라고 한다. 

사용하지 않는 눈은 보고싶은 것을 쫓아갈 수 없고 이 눈의 대부분은 밖을 향하게 되는 외사시라 부른다. 


사시수술치료법 

1. 기질적장애에 의한 사시 수술

안근 마비나 안근 이상은 수술로 치료. 근육길이조절 및 위치를 바꾸기도 한다. 

대부분은 개선되지만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2. 원시 및 약시에 의한 사시 치료

이 경우는 수술보다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로 교정을 한다. 

어린아이가 볼록렌즈같은 안경을 끼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이 교정치료를 위한 경우일 수 있다. 

수술을 한다면 눈의 위치를  바꿨을 때 익숙하지 않아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기도 한다. 



사시란 어렸을 때 발견하면 고치는 것도 간단합니다. 어른이 되면 약시는 고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른이 된 후라도 사시수술치료법 으로 눈이 향하는 위치를 맞출 수는 있습니다. 

거의 포기하고 있는 어른이 있다면 꼭 안과를 한번 찾아가 사시 원인 제대로 알고 제대로 된 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