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2월부터 4월에 걸쳐 유행하는 독감을 예방하기 위한 독감예방접종 효과와 부작용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별로 효과가 없다거나 부작용이 있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아직은 접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효과와 부작용이 있을까요?
독감예방접종 효과와 부작용
1. 효과
접종을 함으로 몸 속에 독감바이러스 항체를 만들어 독감에 걸리거나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독감은 바이러스가 목, 코, 눈 등으로 침입해 몸 속에서 폭발적으로 증식하면서 고열과 관절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독감예방접종으로 가장 많이 효과를 볼 수 있는 사람은 어린이나 고령자보다 의외로 성인입니다.
백신이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접종 후 약 1개월정도 후, 유효항체수준이 가장 높아지는 것은 3개월후, 5개월 후에는 반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미리미리 10월경부터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2. 독감예방접종에 주의가 필요한 사람
심장혈관계질환, 간과 신장질환, 혈액질환, 발육장애 등 기초질환자
과거에 예방접종 후 2일 이내에 발열과 발진 등 알레르기 증상이 있었던 사람, 경련이 있었던 사람
과거에 면역부전 진단을 받은 사람, 선천성 면역부전증 근친자가 있는 사람
간질성폐렴, 기관지천식 등 호흡기계질환자
백신성분, 계란, 닭고기 그외 조류관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3. 독감예방접종 부작용
드물게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소적 부작용 : 빨갛게 부어오르고 욱신욱신 통증이 나타나는데 가벼운 증상으로 2~3일정도로 낫습니다.
전신부작용 : 발열, 두통, 오한, 권태감, 졸음, 현기증, 복통, 설사, 근육통, 관절통, 림프절부종 , 이 또한 2~3일로 낫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중증 부작용 : 두드러기나 호흡곤란등의 아나필락시스, 길랑바레증후군(손발저림, 호흡기와 뇌, 얼굴 등의 신경마비), 급성뇌증(의식불명, 경련, 발열, 구토), 급성산재성뇌척수염(두통, 구토, 발열, 경련, 의식장애), 경련, 간기능장애, 천식발작, 자반증(자반, 코피, 입안출혈, 혈소판감소)
4. 예방접종기간
11월부터 5월까지 주의가 필요하지만 특히 12월하순부터 3월하순까지 유행하므로 10월하순에서 11월하순까지는 접종해야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오늘은 개략적인 독감예방접종 효과와 부작용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어린이독감예방접종관련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