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계산법'에 해당되는 글 1건


728x170

49제의미, 49재 계산법 

49재의미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하게는 무슨 뜻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49제의미 그리고 언제부터 세어야 하는지도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49재 계산법 알아보겠습니다. 


소중한 사람을 잃고 난 후 정신을 제대로 차리기전에 해야할 일이 너무 많습니다. 불교식 의례인데 주변의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가족이 돌아가신 후 가볍게 49재 치루는 분들은 보았습니다. 물론 교회에 가서 기도하는 식으로이긴 합니다만. 




어쨌든 불교에서 온 제사의식으로 사람은 죽으면 7일씩 총 7번의 재판을 받는다는 것을 신과함께 라는 영화나 웹툰을 통해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 마지막의 7번째 재판의 마지막 날이 49일이 됩니다. 


49일 동안은 고인 또한 아직은 저승에 머물면서 살면서 어떤 죄를 지었는지에 대한 재판을 받고 마지막 날인 49일에 최종심판으로 환생을 하거나 지옥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49재의미

살아있는 사람은 그 마지막 날에 고인을 완전히 보내드리기 위해 마지막 인사를 하고 그리고 사진과 유품 등을 태우게 됩니다. 




그러면 49재 계산법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 5월1일에 돌아가셨다고 하면 초재는 5월7일, 2재는 5월14일, 3재는 5월21일, 4재는 5월28일, 5재는 6월4일, 6재는 6월11일, 마지막 7재이며 49재는 6월18일이 되겠습니다. 

돌아가신 날이 1일이 됩니다. 그날부터 하루라고 계산하고 49일이 되는 날입니다. 

49재의미

49재 상차림을 간단히 알아보면 일반적 기제사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불교식 의례이므로 육류, 어류 등을 올리지 않으며 고춧가루, 팥, 마늘 등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고 저 또한 어느 것이 맞는 말인지 찾아봐야 했습니다. 49제 (祭 - 제사 제)가 아닌 49재 (齋 - 재계할 재) 가 맞는 말이라고 합니다. 제사를 먼저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오해가 생기는 듯 합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