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종류 , 병원에서 자주 처방되는 항생제종류
감기나 여러 감염증 등의 증상등으로 병원에 가게 되면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생물질, 항생제라는 이름은 알고 있지만 어떤 종류가 있는건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항생제 종류
좀더 세세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병원에서 자주 처방되는 항생제종류 다섯가지 정도로 간추려 보겠습니다.
1. 페니실린계 : 세균 세포벽합성 방해. 그 결과 세균이 그 세포의 형태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살균효과. 부작용으로는 설사가 있지만 그렇게 심한 것은 아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쇼크문제가 있지만 이것은 정맥주사인 경우로, 경구투여일 경우는 거의 볼 수 없다.
때로 두드러기 등의 발진은 볼 수 있다.
2. 세펨계 : 세균의 세포벽합성 방해. 살균효과 현재 가장 많은 종류가 있으며 사용량도 많다.
항균력은 폐니실린과 비슷하지만 페니실린에 내성을 가진 세균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부작용 또한 페니실린계와 거의 같다.
3. 마이크로라이드계 : 세균의 단백질합성 방해. 세균이 자신에게 필요한 단백질을 충분히 만들 수 없어 약해진다.
정균효과. 약 이름뒤에 ~로마이신이라는 이름이 붙는 것은 마이크로라이드계 항생제인 경우가 많다.
항균력은 페니실린이나 세펨계에 비해 약하고 약간 쓴 맛이 있다.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병소에 선택적으로 투입되어 혈중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지속시킬 수 있어
항균력이 약한데도 불구하고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테트라사이클린계 : 세균의 단백질합성 방해. 정균효과, 약
이름뒤에 ~사이클린이라는 이름이 붙는 것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인 경우가 많다.
항균력은 페니실린, 세펨계보다는 약하고 마이크로라이드계보다는 강하다. 부작용은 치아착색이다.
5. 뉴키노론계 : 세균의 DNA 합성 방해. 그 결과 세균이 DNA 유전정보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살균효과
약 이름뒤에 ~키사신이라는 이름이 붙는 것은 뉴키노론계 항생제일 경우가 많다.
항생제를 말하게 될때 제일 먼저 페니실린계를 말하게 되는데 항생물질은 모두 여기에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종류 , 특히 병원에서 자주 처방되는 항생제종류 다섯가지를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