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글자수 세기 방법 4가지 소개합니다.
자소서나 칼럼 또는 그외의 여러 상황에서 글자수가 제한된 글을 써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블로그를 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이를 신경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들 중 한글프로그램과 워드프로그램 그리고 인터넷상으로 바로 글자수 세기 할 수 있는 방법을 4가지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첫번째 한글 글자수 세기 방법은 네이버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검색하면 바로 첫 화면에 다음과 같이 나오니 여기에 자신이 쓴 글을 복사해서 넣으시면 됩니다. 공백포함과 공백제외 글자수가 심플하게 나타납니다.
두번째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은 인크루트 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면 바로 한글 글자수 세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공백포함과 공백제외 외에도 몇 바이트가 되는지도 표시가 됩니다.
세번째 방법은 한글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한글문서에서 상단의 편집- 문서정보 - 문서통계순으로 확인합니다. 한글프로그램을 이용한 한글 글자수 세기는 글자숫자와 낱말, 줄, 문단 그리고 이 글을 원고지로 옮길 경우 몇장이 되는지도 알아볼 수 있게 되어 원고지 몇장 분량이라는 글을 써야 한다면 정확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네번째 방법은 워드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한글 글자수 세기 해 보겠습니다. 워드 프로그램에서 상단의 검토를 누르고 왼쪽의 단어 개숫 클릭하면 바로 가운데에 확인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공백포함과 제외된 문자수와 단락 수, 줄 수 등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글자수 세기 방법을 총 4가지로 구분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원고지 몇장 정도인지, 몇 바이트인지 자신에게 더 필요한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대로 알아보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