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폐색치료'에 해당되는 글 1건


728x170


팽만감이 있고, 강한 통증과 구역질,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하는 장폐색 

저는 장이 약한 편이고, 소장수술을 한 적도 있어서 특히 장건강을 신경쓰고 있는데요. 

그중 장폐색 원인 , 장폐색 증상 및 치료법 등에 관련되어 알아보겠습니다. 

장폐색 

입으로 섭취한 음식물은 위, 소장, 대장을 지나 소화, 흡수되어 변으로 배설됩니다. 

또한 타액이나 위액을 비롯한 소화액이 하루에 몇리터씩이나 위장속에 분비되는데 

이또한 소장과 대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것은 변과 함께 배설됩니다. 

이 음식물과 소화액의 흐름이 소장이나 대장에서 멈춘 상태, 즉 내용물이 장에 쌓인 상태입니다. 



장폐색 증상 

장의 일부가 좁아지거나 장 활동이 나빠지면서 내용물이 막히고 쌓여 복부팽만감이 느껴지며 통증과 구역질이 납니다. 

먹은 음식이 장에 쌓이고 갑자기 복부가 팽만하면서 강한 통증과 구역질, 구토가 발생하게 되는데,

복통은 심한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와, 

강한 통증 후에 조금 복통이 가라앉는 듯한 강약통증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해지면 장의 내용물이 역류해 똥냄새가 나는 오물을 토하는 경우까지 있습니다. 

구토는 처음에는 흰색이나 투명하고 신 위액이나 노랗고 쓴 담즙이지만, 

병이 진행되면 소장과 대장에서 역류해 온 장 내용물이 똥냄새를 풍기며 토하게 됩니다. 

구토 직후는 일단 복통이나 구역질이 약해집니다. 

장간막도 압박을 받게 되어 쥐어짜는 듯한 복통이 쉼없이 반복되고 안면창백, 식은땀, 추위도 느껴지며 

맥과 호흡이 약해지면서 빨라지고 쇼크상태에 빠지게 되기도 합니다. 



장폐색 원인 

1. 기계적 장폐색 : 복부수술에 의한 장 유착등이 원인이 되어 장이 꼬이거나 종양등으로 장 내부가 막혀서 생기는 것. 

 ○단순성 장폐색 (폐색성 장폐색) 

단순성 장폐색 원인의 대부분은 개복수술후 장관 유착에 의한 것입니다.

개복수술후는 장들끼리나 장과 복벽 유착이 생기는데 유착부위나 정도에 따라서는 

장이 구부러지거나 꼬여서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대장암등의 종양, 담석, 숙변, 기생충 등이 원인이 되어 장관을 막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단순성인 경우는 혈류까지는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복부팽만감, 복통, 구토가 주 증상이 됩니다. 

○복잡성 장폐색(교액성 장폐색) 

장중적, 장축염전, 탈장 등이 원인이 되어 장이 막힌 상태. 혈액장애가 발생하고 괴사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심한 구토와 복통, 소크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2. 기능적 장폐색 

신경이상과 염증등의 염양으로 장연동운동이 없어지고 내용물이 장내에 쌓이는 상태입니다. 

○마비성 장폐색

복막염으로 인한 장관에의 영향, 개복수술후 신경마비, 뇌질환, 장간막혈관 폐색등이 원인. 

그 외에도 쇼크나 강한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비염약, 면역억제제, 항정신병약 등의 부작용으로 인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 원인으로는 장관운동이 마비되어 장 내용물이 정체됩니다. 

○경련성 장폐색 

납중독, 담석, 충수염, 요관결석, 히스테리 등으로 장관 일부가 경련을 일으켜 장내용물 이동이 지장을 받는 것입니다. 


장폐색 치료법 

일단 장폐색이 되면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외과 진단을 받아 초음파, CT등으로 진단이 확정되면 진단결과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착성, 마비성 장폐색인 경우는 수술을 하면 다시 유착을 일으킬 위엄성이 높아 

보존요법이라는 치료법이 선행됩니다. 

링겔로 영양보급하면서 회복을 기다립니다.  며칠에서 1주일이상 계속해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이 검토됩니다. 

교액성인 경우는 장 괴사가 진행되기 전에 수술을 합니다. 괴사가 진행되었다면 그 부분을 절제합니다. 

장관폐색은 상태에 따라 목숨이 걸린 중대한 병입니다. 

증상이 느껴진다면 바로 병원의 진단을 받아 치료를 해야 합니다. 




오늘은 장폐색 원인 그리고 장폐색 증상 및 치료법 관련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