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고 나면 치실등으로 이청소를 하는데 오늘은 좀더 강력한 것으로 하려고 다른 기구를 사용했습니다.
그런데....이가 깨졌어요 . 더군다나 어금니가 깨졌네요.
이런걸 치아파절 이라고 한다고 하는데...혀를 대보면 뭔가 날카롭게 만져지네요.
어금니가 깨진 경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가 빠지거나 깨진경우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치료가 있습니다.
다만 이 치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치아 주변 치근막 상태에 따르게 됩니다.
치아파절 후 시간이 짧고 보존상태가 좋으면 다시 붙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시간 지나고 건조되고 그러면 제대로 붙기 힘듭니다.
이가 빠지고 깨지고 한 경우 깨진 이는 씻지말아야 합니다.
우유, 특히 무지방이나 저지방유에 담아두면 더 좋구요.
이가 깨졌어요 싶으면 빨리 우유를 준비해야겠습니다.
어금니 치아파절 후 그대로 방치하면 ?
세균으로 잇몸이 붓고 고름이 쌓인다.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면서 썩고 입냄새가 심해진다.
부종, 고름, 출혈 등 치주병과 비슷한 증상이 생기며 턱뼈가 녹는다.
상황별 어금니 치아파절 시 대처방법
1. 충치로 어금니 깨진 경우
입구는 작고 속은 넓게 퍼져 있는 충치. 딱딱한 음식을 먹거나해서 어금니가 깨지는 경우가 있다.
빠른시기에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2. 치료중인 어금니가 깨진 경우
치아 강도가 평상시보다 약해져 있어 쉽게 깨지게 된다.
치료도중인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약한 부분이 세균감염으로 충치가 된다.
3. 세라믹이 깨진 경우
깨진부분이 작으면 거칠거칠한 부분을 정돈하면 되지만
크게 깨진 경우는 부분적으로 세라믹을 넣던가 새로 치료해야만 한다.
4. 이갈이로 어금니가 깨진 경우
작은 경우는 이를 정돈하는 정도로 치료가 끝난다. 크게 깨진 경우는 덮어 씌우거나 안에 뭔가를 넣어 대처.
신경이 죽거나 어금니가 크게 깨진 경우가 있어 마우스피스로 보호할 필요가 있기도 한다.
5. 씌운 것이 빠진 경우
자신이 무리하게 덮어씌우려고 하지 말것. 남아 있는 부분이 더 깨질 수 있다.
빠진 부분을 가지고 치과에 가는 것이 좋다.
6. 어금니가 잇몸가까이에서 깨진 경우
치주병이 진행되면 잇몸이 내려가고 치아뿌리가 나오게 된다.
이부분은 치아 윗부분에 비해 충치가 되기 쉽다. 충치가 진행되면 이가 빠지거나 깨지기 쉽다.
7. 어금니가 빠진 경우
치아가 통째로 빠진 경우 빠진 이가 말라서는 안됩니다.
치아는 건조된 상태에서 약 20분이 지나면 치근막이 죽어버려 치료가 어렵다.
치과에서는 이가 빠진 부분으로 되돌려 2주정도 고정시킨다.
신경이 죽은 경우도 있지만 이가 건조되지 않도록 올바르게 처치한 경우 자신의 치아를 남길 수 있다.
저는 충치도 아니었는데 이가 깨졌어요 .
더군다나 어금니가 깨진 경우 어떻게 하면 될지 몰라 우선 깨진 이를 휴지에 말아 놨네요.
결국은 어쩔 수 없이 치과에 가서 레진을 받아야 할 듯 합니다.
단순한 치아파절 정도로 생각해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더 큰 일로 번질 수 있으니 우
선은 치과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