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탈구'에 해당되는 글 1건


728x170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 

 

강아지 무릎에는 슬개골이라는 접시모양의 뼈가 있습니다. 기 뼈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현상 즉 탈구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어떤 증상으로 나타나게 될까요? 

 

슬개골 이라는 부분은 대퇴골에 딱 맞아들어가게 되어 있으며 인대로 유지 지탱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대로 된 위치에서 슬개골 탈구 증상 일어나는 일은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소형견 종류 강아지에게는 선천적으로 이 대퇴골에서 슬개골이 빠지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선천적으로 슬개골 탈구 증상 나타나기 쉬운 강아지는 대부분이 안쪽으로 어긋나는 안쪽 탈구가 많이 나타납니다. 이 외에도 사고 등으로 인해 나타나기도 합니다. 

 

소형견은 안쪽 탈구가 많이 생기는데 반해 대형견은 바깥쪽으로 탈구 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리고 탈구 된 슬개골은 다리등을 펴고 구부리고 하는 행동 등으로 스스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몇번에 걸쳐 반복되면서 뒷다리의 뼈가 변형되거나 인대가 끊기기도 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진행 과정

슬개골 탈구 1기 증상

손가락으로 누르면 탈구가 되는데 손가락을 떼면 바로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은 없습니다. 

 

슬개골 탈구 2기 증상 

손가락으로 누르면 쉽게 탈구 되는데 손가락을 떼어도 정상 위치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다리를 구부리고 펴고 하는 동작들을 통해서 제자리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 다리를 들고 걷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닙니다. 

 

슬개골 탈구 3기 증상 

 

 

항상 탈구된 상태로 제자리로 돌아간다 해도 바로 또 빠집니다. 즉 항상 탈구되어 있기는 하지만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까지는 가능합니다. 다리를 질질 끌거나 쪼그린 자세로 걷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4기 증상 

항상 탈구된 상태로 제자리로 돌아가질 못합니다. 다리뼈가 비뚤어져 있는 등의 변형이 확인됩니다.  뼈가 변형되어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걷거나 전혀 걷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 

선천적으로 인대에 이상이 있으면 탈구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성장하면서 충분하게 뼈나 근육이 성장하지 않는 등의 원인 또한 사고 등으로 인한 부상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소형견 특히 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 토이푸들, 말티즈, 치와와 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라서 펫보험등에서도 이 부분은 보험적용이 안된다거나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치료 및 예방 

 

 

약을 복용하거나 레이저 치료 등으로 내과적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증상에 맞춰 운동을 제한하거나 체중을 감소 시키는 등의 지도를 하게 됩니다. 외과적 치료는 역시 수술입니다. 골조직 재건술와 연부조직 재건술을 하게 됩니다. 

 

집에서 소형견 강아지 키우는 분들은 특히 이 슬개골 탈구 증상은 거의 100%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체중관리와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을 만들어주고 침대나 소파로 뛰어오르거나 뛰어내리지 않는 등으로 무릎 관리를 잘 해 주어야 합니다. 

 

요즘은 이런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 나타난 경우 또는 미리 예방 차원으로 서포터, 보호대 들도 많이 나와 있으므로 증상에 맞춰 사용해 보는 방법도 바람직합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