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후 몸의 변화, 시간별로 나누어 보기
담배를 피우는 분들 중에서도 항상 마음 속으로는 금연을 생각하고 있을 것입니다. 특히나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흡연자를 거의 범죄자 취급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강 알고는 있겠지만 좀 더 자세히 시간별로 나누어 금연 후 몸의 변화 어떻게 나타나는지 궁금하시죠?
아주 짧게는 20분 후부터 1년 후, 5년 후, 10년 후, 20년 후 등의 시간별로 금연 후 몸의 변화 과정을 소개합니다.
금연 20분 후
금연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하지만 담배를 피우고 나서 20분 정도 지나면 혈압과 맥박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손발의 체온이 상승하는 몸의 변화 나타납니다. 즉 계속 흡연을 하고 있는 분이라해도 담배 피고 난 후 20분 지나면 이러한 변화를 겪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곧 다시 담배를 피기 때문에 이 변화가 지속되지는 못합니다.
담배를 다 피고난 그 순간부터 몸은 흡연으로 생긴 변화를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여러 유해물질로 인한 피해로부터 몸을 회복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니코틴으로 수죽된 혈관이 원래대로 돌아오고 혈압과 맥박이 정상이 되고 체온도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금연 20분 정도 지나면서 니코틴이 감소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금방 또 담배를 피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면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안하고 짜증이 나는 금단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금연 후 8시간 경과
혈액 내의 니코틴 농도가 93.25% 감소합니다. 흡연으로 인해 증가되어 있던 혈액 속 일산화탄소가 감소하고 산소농도가 올라갑니다. 산소농도가 높아지면 호흡이 편해집니다. 그리고 떨어져 있던 운동능력이 회복되기 시작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시점에서 금연을 포기하기도 할 정도로 금단증상이 심해지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때부터가 진정한 금연 시작입니다.
금연 후 12시간 경과
담배를 피우지 않고 반나절을 견디게 되면 혈액 속의 산소농도와 일산화탄소농도가 정상수치가 됩니다. 이로 인해 주의력이 상승하게 되고 수면의 질도 좋아지게 됩니다.
금연 후 24시간 경과
몸 속의 니코틴이 거의 다 빠지면서 금단증상이 최고조로 올라오게 됩니다. 그리고 담배로 인해 증가했던 혈액속 일산화탄소가 정상적으로 돌아오며 폐 정화작용이 시작되어 혈압이 정상이 되면서 심장발작 위험성도 떨어집니다.
금연 후 48시간 경과
흡연으로 인해 생겼던 폐의 상처나 쓰레기 같은 흔적들이 사라지면서 회복되어 갑니다. 그리고 취각과 미각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따라서 식욕이 돌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금연 후 72시간 경과
드디어 몸 속의 니코틴이 100%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금단증상 또한 서서히 약해져 갑니다. 폐활량과 기관지 기능이 회복되고 운동능력도 크게 회복됩니다.
금연 후 2주 경과
흡연으로 인해 치아가 누렇게 변했거나 했던 것이 서서히 그 강도가 약해지면 혈액순환이 좋아지면서 비흡연자와 비슷한 정도로까지 개선되게 됩니다. 신경전달물질 기능이 정상화되어 수면의 질이 좋아집니다.
금연후 2~4주 경과
금단증상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감도 서서히 사라지면서 편안한 정신상태로 들어가게 됩니다. 순환기능이 회복되고 심장과 혈관의 기능이 회복되어 갑니다. 수족냉증이 있었다면 이 또한 개선되어 갑니다. 피부가 깨끗해지고 여성의 경우는 화장도 잘 받게 됩니다.
금연 후 1 ~9개월 경과
심장발작의 위험성이 감소하고 폐 기능이 향상됩니다. 금단증상이 약해지고 일상생활도 편안해 집니다. 단순한 감기나 독감부터 심근경색,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의 위험성도 감소합니다. 여기까지오면 금연 제1단계에서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폐가 깨끗해지고 몸을 움직여도 숨이 차거나 하는 증상이 없어지며 기침 횟수도 확연히 줄어들게 됩니다.
금연 후 1년 경과
심근경색과 심장질환의 위험성이 반으로 떨어집니다. 가벼운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있는 사람의 폐기능이 개선되기 시작합니다. 기침, 가래, 숨참 등의 증상도 개선되며 무기력함과 쉽게 피곤해지는 체질도 개선되며 활동적이 되어 질 수 있습니다.
금연 후 2~4년 경과
협심증과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성이 35% 감소하고 뇌경색 위험성도 많이 감소됩니다.
금연 후 5~15년 경과
뇌졸중 위험성이 비흡연자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 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경색 위험성 감소, 그 외의 암 발생률 저하 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연 후 10년 경과
흡연으로 인한 폐암 위험률이 30~50% 감소하면서 사망의 위험률도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금연 후 15년 경과
관동맥성 심장질환이나 심장마비 위험성이 비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며 치아가 빠지게 되는 위험성도 비흡연자와 비슷합니다.
금연 후 20년 경과
담배로 인한 해로움에서 몸이 완전히 해방되게 됩니다.
이렇게 금연 후 몸의 변화 건강의 변화 등을 시간별로 알아보았습니다. 금연 성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