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혈압이라고하면 대부분 고혈압을 먼저 걱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저혈압이 더 위험하다더라라는 말도 가끔 듣는 일도 있습니다. 

저혈압 수치, 연령별 혈압정상수치  얼마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혈압수치는 다들 기본적으로 알고있듯 120/80 미만을 말하고 있습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이면 고혈압, 120 이상이면 고혈압 전단계라 합니다.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이면 고혈압, 80 이상이면 고혈압 전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압이 높으면 건강이 나쁘고 건강을 해치게 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저혈압이라고 하면 단지 아침에 잘 못 일어나고 힘들어한다고 정도로만 생각해 가볍게 여기기 쉽습니다. 


저혈압은 고혈압처럼 정확한 수치를 나타내는 규정이 없습니다만, 혈압이 100/60 이하를 말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누웠다가 일어날 때 수축기 혈압이 20, 확장기 혈압이 10이상 떨어지면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연령별 저혈압 위험수치 및 정상수치를 정리해 놓은 것이 있어 소개합니다.  연령별로 보는 이유는 나이를 먹을수록 혈관이 탄력성을 잃어 혈압을 지키는 힘이 약해지면 고혈압이 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120-80을 기준으로, 일본은 최고혈압이 135, 최저혈압이 85로 조금 다를 수도 있겠지만 참고용으로 확인하시면 될 듯 합니다. 



연령별 혈압정상수치 

30대 : 114~124 / 71~79mmHg

40대 : 123~130 / 77~84mmHg

50대 : 133~138 / 81~85mmHg

60대 : 141/83mmHg 

70대 : 145/80mmHg

혈압위험수치 

혈압은 하루에도 몇번씩 달라지므로 너무 신경질적으로 집착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낮으면 제대로 혈액순환이 되지않아 의식을 잃기도 하며 너무 높으면 혈관이 끊겨 위험한 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위험수치로 최고치는 우선 180/110mmHg 입니다. 고혈압으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되는 대부분의 환자는 이 수치를 넘으며, 이런 수치는 언제 혈관이 끊겨도 이상하지않습니다. 

최저수치는 최고혈압이 70mmHg를 밑도는 경우입니다. 최저혈압의 기준은 정확하게는 규정되어 있지않습니다. 그 이유는 혈압이 너무 낮으면 특수장치를 혈관 속에 넣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평소 혈압이 신경쓰인다면 집에 혈압을 재는 기계 하나 마련해서 항시 연령별 혈압정상수치 확인해 보시면 건강유지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저혈압 수치 , 고혈압만큼 제대로 된 수치로 보여주진 않지만 너무 낮아지면 위험할 수 있으니 관리에 유의해야겠습니다. 

그리드형